셀레스티아 위키
Advertisement
136472 마케마케
Makemake hubble
발견
발견자 마이클 브라운
발견일 2005년 3월 31일
임시이름 2005 FY9
궤도 특성
이심률(e) 0.159
궤도장반경(a) 45.791 AU
근일점(q) 38.509 AU
원일점(Q) 53.074 AU
공전 주기(P) 309 년
평균 공전 속도 4.419 km/s
궤도 경사(i) 85.13˚
승교점 경도(Ω) 28.96˚
근일점 인수(ω) 298.41˚
물리적 성질
지름 1300ㅡ1900 km
질량 ~4×1021 kg
평균 밀도 ~2 g/cm3
적도 중력 ~0.47 m/s²
탈출 속도 ~0.84 km/s
반사율 78.2
온도 30ㅡ35 K
겉보기 등급 +16.7
절대등급(H) -0.48
2005FY9art

마케마케의 개념도.

마케마케[1](영어: 136472 Makemake)는 태양계왜행성들 중 세 번째로 크며 큐비원족 중 가장 큰 두 천체 중 하나이다. 지름은 대략 명왕성의 3분의 2 수준이다.[2] 현재 마케마케는 태양에서 52 천문단위 떨어져 있는데 이는 카이퍼대 외곽지대보다 약간 먼 정도 거리이다. 마케마케는 천천히 태양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근일점에서의 궤도장반경은 약 46 천문단위로 큐비원족 영역 내로 진입한다. 마케마케에는 아직까지 확인된 위성이 없다.

이 천체의 원래 이름은 2005 FY9로 이후 136472가 붙었다. 2005년 3월 31일 마이클 브라운 탐사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발견 사실은 2005년 7월 29일 공표되었다. 2008년 6월 11일 국제 천문 연맹은 마케마케를 잠재적 플루토이드(해왕성 너머에 있는 왜행성들로, 마케마케는 명왕성에리스와 함께 여기에 속한다) 목록에 포함시켰다. 마케마케는 2008년 7월 11일 공식적으로 명왕성형 천체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3][4][5]

발견 역사[]

마케마케는 마이클 브라운 탐사팀에 의해 2005년 3월 31일 발견되었다.[6] 이 발견은 에리스와 같은 날, 그리고 하우메아의 발표일 이틀 후인 2005년 7월 29일에 공표되었다.[7]

상대적으로 밝은(명왕성의 15등급보다 약간 어두운 16.7등급 정도) 밝기에도 불구하고, 마케마케는 최근까지 많은 다른 카이퍼대 천체들이 발견될 때까지도 그 존재를 드러내지 않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궤도경사각이 큰데다, 발견 당시 황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머리털자리에 있었다).[8] 이미 발견된 많은 왜행성들은 대체로 황도 근처에 자리잡고 있었다.

클라이드 톰보가 1930년 명왕성을 발견했을 당시 마케마케의 위치는 황도에서 불과 몇 도 되지 않은 곳이었고(황소자리마차부자리의 경계선)[9] 겉보기 등급은 16.0이었다.[8] 불운하게도 마케마케가 있는 곳은 은하수 부근으로 뒷배경의 별들이 많아서 어두운 천체를 발견하기가 힘들었다. 톰보는 명왕성 발견 후에도 여러 해에 걸쳐 미지의 천체를 계속 찾았으나[10] 마케마케 혹은 다른 큐비원족 천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데에는 실패했다.

명칭[]

2005 FY9는 발표 사실이 대중에 공개됨과 함께 마케마케라는 이름을 얻었다. 마케마케 이름을 붙이기 전에 이 천체의 별칭은 부활절 토끼였다(이런 이름이 붙은 이유는 부활절 직후 발견되었기 때문이다).[11]

2008년 국제 천문 연맹의 규칙에 따라 2005 FY9에는 조물주의 이름이 붙었다. 마케마케는 이스터 섬의 신화에 등장하는, 세상을 창조한 신의 이름이며,[3] 이 이름을 선택한 이유는 부활절의 의미를 간직하기 위한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11]

주석[]

  1. Craig, Robert D. (2004). Handbook of Polynesian Mythology, p63쪽. ISBN 1576078949. 2008년 7월 14일에 확인.
  2. Michael E. Brown (2006). The discovery of 2003 UB313 Eris, the 10th planet largest known dwarf planet. CalTech. 2008년 7월 14일에 확인.
  3. 3.0 3.1 Dwarf Planets and their Systems. Working Group for Planetary System Nomenclature (WGPSN) (07/11/2008 11:42:58). 2008년 7월 13일에 확인.
  4. Tancredi, Gonzalo, Favre, Sofia. Which are the dwarfs in the Solar System?. Icarus 195 (2): 851–862. doi:10.1016/j.icarus.2007.12.020.
  5. Brown, Michael E.. The Dwarf Planet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2008년 1월 26일에 확인.
  6.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36472 (2005 FY9) (2008-04-05 last obs). 2008년 6월 11일에 확인.
  7. Thomas H. Maugh II and John Johnson Jr. (2005). His Stellar Discovery Is Eclipsed. Los Angeles Times. 2008년 7월 14일에 확인.
  8. 8.0 8.1 HORIZONS Web-Interface.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8년 7월 1일에 확인.
  9. Minor Planet Center online Minor Planet Ephemeris Service에 기반한 자료임: 1930년 3월 1일: RA: 05h51m, Dec: +29.0
  10. Clyde W. Tombaugh. New Mexico Museum of Space History. 2008년 6월 29일에 확인.
  11. 11.0 11.1 Mike Brown (2008). Mike Brown's Planets: What's in a name? [part 2]. CalTech. 2008년 7월 14일에 확인.

바깥 고리[]

Advertisement